아마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최근 비트코인 ETF 승인 이후 비트코인 생태계에 관심이 생기셨을 것 같다. 특히 스택스(STX)가 비트코인의 레이어2로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궁금하실 것이다.
2천만원으로 → ‘340억’을 벌어버린 윙스 매매법.txt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1/image-12-1024x554.png)
놀라운게 23살에 2천만원으로 시작해서 업비트에서만 340억, 바이낸스까지 하면 더 벌었다고 함. 터키 롤리그에서 ‘Swing’으로 활동했던 프로게이머 출신인데, 이 경험이 트레이딩에 크게 도움됐다고 함.
일단 첫번째로 진짜 중요한게 ‘마진 거래 절대 금지’임. 윙스도 “레버리지는 수익도 크지만 리스크가 더 크다”고 했음. 실제로 레버 안쓰고 340억 만들었으니까 현물만으로도 충분히 큰돈 벌 수 있다는거 증명한셈.
스택스, 비트코인의 새로운 확장성
스택스는 비트코인 네트워크 위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구현하는 레이어2 솔루션이다. 이더리움이 가진 프로그래밍 기능을 비트코인에 추가하면서도, 비트코인의 보안성은 그대로 유지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현재 비트코인은 디지털 골드로서의 역할은 완벽하게 수행하고 있지만, 실용적인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DeFi, NFT, dApp 등 현대 블록체인의 핵심 기능들을 구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1/image-5.png)
스택스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려 한다. ‘Clarity’라는 전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비트코인 네트워크 위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마치 이더리움의 솔리디티와 비슷한 역할이다.
왜 지금 스택스인가?
최근 비트코인 ETF가 승인되면서 시장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 기관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보유하기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비트코인을 활용한 수익창출 방안에 관심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1/image-6.png)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스택스의 ‘비트코인 마이닝’ 방식이다. 스택스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해시파워를 직접 활용하는 ‘Proof of Transfer’ 합의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이는 비트코인의 보안성을 그대로 상속받으면서도,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게 해준다.
현재 스택스의 시가총액은 비트코인의 1% 미만이다. 이는 이더리움의 레이어2들이 이더리움 시가총액의 5-10%를 차지하는 것과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준이다. 성장 잠재력이 그만큼 크다는 의미다.
스택스의 생태계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Alex Lab’, ‘Arkadiko’ 등 주요 DeFi 프로토콜들이 이미 가동 중이며, NFT 마켓플레이스도 활성화되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을 담보로 한 대출 서비스는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인 과제도 있다. 첫째, 아직 개발자 생태계가 이더리움만큼 성숙하지 않았다. Clarity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개발자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이 현실이다.
둘째, 비트코인 커뮤니티의 보수적인 성향이다. 비트코인 maximalist들은 레이어2 솔루션을 불필요하게 보는 경향이 있다. 이들을 설득하는 것이 스택스의 과제다.
셋째, 경쟁이 심화될 수 있다. RSK, Liquid 등 다른 비트코인 사이드체인들도 있으며, 라이트닝 네트워크도 계속 발전하고 있다.
스택스의 미래 전망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택스의 장기 전망은 긍정적이다. 특히 비트코인 ETF 승인 이후, 기관들이 비트코인을 활용한 수익창출 방안을 찾기 시작하면 스택스는 자연스러운 선택지가 될 수 있다.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1/image-7.png)
또한 스택스는 최근 ‘나카모토 릴리스’라는 중요한 업그레이드를 준비하고 있다. 이는 처리 속도와 확장성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예상되며, 더 많은 dApp들이 스택스 생태계에 합류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특히 비트코인의 4년 반감기 마다, 마이너들은 새로운 수익원을 찾아야 할 것이다. 스택스의 Proof of Transfer 시스템은 이들에게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1/image-8.png)
현재 암호화폐 시장은 ‘실용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스택스는 비트코인의 안정성과 이더리움의 실용성을 결합했다는 점에서, 이러한 트렌드에 정확히 부합한다.
물론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스택스는 비트코인 생태계의 필수적인 부분이 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기관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넘어 비트코인 기반의 DeFi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 스택스의 가치는 재평가될 것이다.
현재 스택스의 가격은 여전히 역사적 고점 대비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이는 리스크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기회이기도 하다. 특히 비트코인이 새로운 고점을 향해 나아가는 상황에서, 스택스의 저평가 상태는 오래 지속되지 않을 수 있다.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1/image-9.png)
이 글은 투자 추천이 아니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다. 항상 자신의 투자 성향과 위험 감수 능력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거래소 | 지.정.가 | 시.장.가 |
---|---|---|
OKX | 0.02% | 0.05% |
비트겟 | 0.018% | 0.03% |
바이비트 | 0.01% | 0.04% |
MEXC | 0.01%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