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천만원으로 → ‘340억’을 벌어버린 윙스 매매법.txt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1/image-12-1024x554.png)
놀라운게 23살에 2천만원으로 시작해서 업비트에서만 340억, 바이낸스까지 하면 더 벌었다고 함. 터키 롤리그에서 ‘Swing’으로 활동했던 프로게이머 출신인데, 이 경험이 트레이딩에 크게 도움됐다고 함.
일단 첫번째로 진짜 중요한게 ‘마진 거래 절대 금지’임. 윙스도 “레버리지는 수익도 크지만 리스크가 더 크다”고 했음. 실제로 레버 안쓰고 340억 만들었으니까 현물만으로도 충분히 큰돈 벌 수 있다는거 증명한셈.
거래소 | 지.정.가 | 시.장.가 |
---|---|---|
OKX | 0.02% | 0.05% |
비트겟 | 0.018% | 0.03% |
바이비트 | 0.01% | 0.04% |
MEXC | 0.01% | 0.04% |
아마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USDT, USDC만 들어보셨을 텐데, 최근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특히 고금리를 제공하는 스테이블코인들이 연이어 출시되면서 시장 지형이 바뀌고 있다.
USDT/USDC의 현주소
테더(USDT)와 USD코인(USDC)은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절대 강자다. USDT는 약 900억 달러, USDC는 약 250억 달러의 시가총액을 기록 중이다. 전체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특히 USDC가 주목받는 이유는 블랙록이 미국 국채를 담보로 하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는 미국 국채의 새로운 수요처가 생긴다는 의미다. 달러 패권이 더욱 강화될 수 있는 전환점이 될 것이다.
하지만 이들은 단순히 1:1 페깅만 유지할 뿐, 추가 수익을 제공하지 않는다. 인플레이션 시대에 실질 구매력이 감소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수익형 스테이블코인들이 등장하고 있다.
USDe: 혁신적인 수익 모델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47.png)
에테나 랩스의 USDe는 현재 스테이블코인 종류 및 전망중 가장 파격적인 수익 모델을 제시한다. 바이비트에서 최대 연 20%의 이자를 제공하는데, 이는 기존 스테이블코인과는 차원이 다른 수준이다.
수익 구조가 매우 정교하다. 델타중립 전략으로 선물시장의 펀딩비를 수취하고, 여기에 이더리움 스테이킹 수익을 더한다. 변동성이 높을수록 수익률도 올라가는 구조다.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48.png)
특히 바이비트에서는 USDe 거래 수수료가 전혀 없다. 매일 아침 6시(UTC)에 이자가 자동 지급되며, 최소 보유량 제한도 없어서 진입장벽이 매우 낮다.
BFUSD: 바이낸스의 야심작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49.png)
바이낸스가 출시한 BFUSD는 선물 거래에 특화된 스테이블코인이다. 멀티에셋 모드에서 마진으로 활용 가능하며, 별도의 스테이킹 없이도 일일 보상이 발생한다.
수익 메커니즘이 독특한데, 바이낸스의 델타중립 운용 수익과 이더리움 스테이킹 수익을 결합했다. 특히 시장이 활황일 때는 펀딩비가 상승하면서 보상률도 자연스럽게 올라간다.
USDT로의 자유로운 환전이 가능하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유동성 문제 없이 선물 거래와 이자 수익을 동시에 노릴 수 있다.
DAI 생태계의 진화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50.png)
메이커다오의 DAI는 가장 오래된 탈중앙화 스테이블코인이다. ETH를 담보로 발행되며, 완전한 탈중앙화를 자랑한다. 최근에는 sDAI라는 수익형 상품을 출시해 주목받고 있다.
sDAI는 DAI를 예치하면 자동으로 이자가 발생하는 구조다. 현재 연 5% 정도의 수익률을 제공하는데, 이는 완전히 탈중앙화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수익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DAI는 다양한 DeFi 프로토콜과 연계되어 있다. Aave, Compound 같은 대출 플랫폼에서 담보로 활용할 수 있고, Curve에서는 유동성 풀의 기반이 된다. 생태계가 매우 탄탄하다.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
하지만 높은 수익률 뒤에는 그만한 리스크가 도사리고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 취약점, 담보물 가치 하락, 오라클 오작동 등 다양한 리스크가 있다. 특히 UST 사태에서 보았듯이,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은 순식간에 붕괴할 수 있다.
규제 리스크도 간과할 수 없다. SEC가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을 증권으로 분류할 가능성이 있다.
결론적으로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단순 페깅을 넘어 다양한 수익 모델이 등장하면서 새로운 패러다임이 열리고 있다.
이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니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다.
30일만에 당신의 투자금이
얼마나 불어날까요?
레버리지 | 일일 수익률 | 30일 후 배율 | 최종 금액 |
---|---|---|---|
1x | 0.5% | 1.16배 | 116만원 |
3x | 1.5% | 1.56배 | 156만원 |
5x | 2.5% | 2.11배 | 211만원 |
10x | 5.0% | 4.48배 | 448만원 |
당신의 투자 전략은 어떤 결과를 만들어낼까요?
지금 바로 확인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