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천만원으로 → ‘340억’을 벌어버린 윙스 매매법.txt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1/image-12-1024x554.png)
놀라운게 23살에 2천만원으로 시작해서 업비트에서만 340억, 바이낸스까지 하면 더 벌었다고 함. 터키 롤리그에서 ‘Swing’으로 활동했던 프로게이머 출신인데, 이 경험이 트레이딩에 크게 도움됐다고 함.
일단 첫번째로 진짜 중요한게 ‘마진 거래 절대 금지’임. 윙스도 “레버리지는 수익도 크지만 리스크가 더 크다”고 했음. 실제로 레버 안쓰고 340억 만들었으니까 현물만으로도 충분히 큰돈 벌 수 있다는거 증명한셈.
거래소 | 지.정.가 | 시.장.가 |
---|---|---|
OKX | 0.02% | 0.05% |
비트겟 | 0.018% | 0.03% |
바이비트 | 0.01% | 0.04% |
MEXC | 0.01% | 0.04% |
트럼프와 비트코인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46.png)
아마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트럼프의 비트코인 전략자산화 발언을 듣고 충격을 받으셨을 것 같다. 특히 중국의 행보가 심상치 않다.
트럼프가 재선되면 비트코인을 전략자산으로 편입하겠다고 했다. 이건 단순한 선거 공약이 아니다. 미국의 달러 헤게모니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비트코인은 새로운 준비자산이 될 수 있다.
특히 공화당 상원의원 대부분이 크립토 프렌들리다. 테드 크루즈, 신시아 루미스 같은 핵심 정치인들이 이미 비트코인을 옹호하고 있다. 트럼프가 당선되면 의회 통과는 시간문제라는 얘기다.
게다가 게리 겐슬러가 교체되면 SEC도 크립토 프렌들리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 이미 비트코인 현물 ETF를 허가했고, 이더리움 ETF도 승인이 임박했다. 규제기관의 기조가 180도 바뀌고 있다.
중국의 딜레마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45.png)
여기서 중국의 포지션이 흥미롭다. 미국이 비트코인을 국가자산으로 인정하면, 중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가만히 있다가는 미국에 완전히 밀릴 수 있다.
실제로 시진핑은 이미 중국 내 비트코인 보유를 허용했다. 이건 시작일 뿐이다. 다음은 거래소 허가, 그리고 채굴 합법화가 차례로 진행될 것이다.
특히 채굴 섹터가 관건이다.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싼 전기료를 보유하고 있다. 수력발전, 태양광발전이 잘 갖춰져 있어서 텍사스보다 채굴 코스트가 30-40% 가량 저렴하다.
중국 비트코인 규제가 풀리면 가장 먼저 채굴 산업이 부활할 것이다. 과거 중국이 글로벌 채굴량의 75%를 점유했던 것처럼, 다시 한번 채굴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
관련 코인 분석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44.png)
비체인(VET)
물류/유통 특화 체인으로, 중국 당국과 가장 밀접한 프로젝트다. 특히 월마트 차이나와 협업 중이라 실사용성이 돋보인다. 중국 비트코인 규제 완화의 최대 수혜주로 꼽힌다.
트론(TRX)
저스틴 선의 트론은 이미 홍콩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중국 자본과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해 놓아서, 규제가 풀리면 가장 빠르게 중국 마켓을 장악할 수 있다. USDD라는 스테이블코인도 운영 중이다.
컨플럭스(CFX)
상하이 정부가 직접 후원하는 유일한 퍼블릭 체인이다. BSN 네트워크의 핵심 멤버로서, 중국의 블록체인 산업 육성 정책에서 가장 큰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알케미페이(ACH)
중국의 CBDC와 연동될 가능성이 높은 결제 솔루션이다. 현재 홍콩 CBDC 시범사업에 참여 중이며, 수만 개의 가맹점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파일코인(FIL)
분산형 스토리지 프로젝트로, 중국의 데이터센터들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고 있다. 중국의 데이터 주권 정책과도 완벽하게 부합한다.
네오(NEO)
‘중국의 이더리움’으로 불리는 네오는 디지털 아이덴티티 관리에 특화되어 있다. BSN의 주요 파트너로서, 중국 정부의 블록체인 전략을 실현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맡게 될 것이다.
투자 전략
중국의 비트코인 규제 완화는 단계적으로 이뤄질 것이다. 첫 단계는 보유 합법화, 그 다음 거래소 인가, 마지막으로 채굴 허가 순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투자도 단계별로 접근해야 한다. 초기에는 VET, TRX같이 검증된 프로젝트에 집중하고, 규제가 풀리면서 CFX, ACH 같은 신흥 프로젝트로 확장하는 전략이 유효해 보인다.
특히 채굴 합법화는 마지막 단계가 될 것이다. 이 시점을 대비해 FIL같은 인프라 코인도 주시해야 한다.
다만 모든 시나리오가 현실화된다는 보장은 없다. 중국 당국의 결정은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 하루아침에 정책이 뒤집힐 수도 있다.
이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니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다.
30일만에 당신의 투자금이
얼마나 불어날까요?
레버리지 | 일일 수익률 | 30일 후 배율 | 최종 금액 |
---|---|---|---|
1x | 0.5% | 1.16배 | 116만원 |
3x | 1.5% | 1.56배 | 156만원 |
5x | 2.5% | 2.11배 | 211만원 |
10x | 5.0% | 4.48배 | 448만원 |
당신의 투자 전략은 어떤 결과를 만들어낼까요?
지금 바로 확인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