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천만원으로 → ‘340억’을 벌어버린 윙스 매매법.txt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1/image-12-1024x554.png)
놀라운게 23살에 2천만원으로 시작해서 업비트에서만 340억, 바이낸스까지 하면 더 벌었다고 함. 터키 롤리그에서 ‘Swing’으로 활동했던 프로게이머 출신인데, 이 경험이 트레이딩에 크게 도움됐다고 함.
일단 첫번째로 진짜 중요한게 ‘마진 거래 절대 금지’임. 윙스도 “레버리지는 수익도 크지만 리스크가 더 크다”고 했음. 실제로 레버 안쓰고 340억 만들었으니까 현물만으로도 충분히 큰돈 벌 수 있다는거 증명한셈.
거래소 | 지.정.가 | 시.장.가 |
---|---|---|
OKX | 0.02% | 0.05% |
비트겟 | 0.018% | 0.03% |
바이비트 | 0.01% | 0.04% |
MEXC | 0.01% | 0.04% |
아마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페페코인이 100배, 봉크코인이 50배 찍는 걸 보면서 FOMO에 시달리고 계실 것 같습니다. 특히 도지코인이 일론머스크 트윗 한방에 30% 상승하는 걸 보면서 더욱 그러실 겁니다.
현재 밈코인 시장은 잠시 숨 고르기 중입니다. 리플, 스텔라, 슨트, 에이다로 수급이 몰리면서 다른 섹터들은 주춤했죠. 이제는 게이밍, 메타버스 섹터에서 저시총 코인들로 수급이 분산되는 중입니다.
도지코인(DOGE)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68.png)
도지코인은 밈코인 종류 전망의 시초입니다. 2013년 출시 이후 10년 넘게 살아남았다는 것 자체가 대단한 성과입니다. 수많은 밈코인들이 생겼다 사라졌지만, 밈코인 종류 중 도지는 끝까지 살아남았죠.
특히 도지코인의 최대 강점은 일론머스크라는 강력한 후원자가 있다는 점입니다. 최근에는 X(구 트위터)에서 도지코인 결제 도입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게 현실화되면 도지는 폭발적으로 상승할 수 있습니다.
도지코인은 또한 리테일 투자자들 사이에서 강력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레딧의 r/dogecoin은 250만 명 이상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죠.
시바이누(SHIB)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67.png)
밈코인 종류 중 대장급인 시바이누는 ‘도지코인 킬러’를 표방하며 시작했지만, 이제는 자체 생태계를 구축했습니다. 시바스왑이라는 DEX를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레이어2 솔루션인 시바리움도 출시했습니다.
하지만 시바이누의 가장 큰 약점은 발행량입니다. 총 발행량이 589조 개로, 이는 시가총액 상승에 큰 제약이 됩니다. 1센트만 되어도 시총이 수십조 원에 달하는 수준입니다.
최근에는 메타버스 프로젝트 ‘SHIB: The Metaverse’도 진행하고 있지만, 아직 뚜렷한 성과는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페페(PEPE)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66.png)
페페는 2023년 가장 성공한 밈코인입니다. 이더리움 기반으로 만들어져 DEX에서 거래가 매우 활발합니다. 특히 유니스왑 v3에서의 일일 거래량이 수천만 달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페페의 최대 강점은 토크노믹스입니다. 발행량이 420조 개로 다른 밈코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게다가 팀 물량도 없고 프리세일도 없었던 완전한 페어런치였죠. 이런 공정한 분배는 투자자들에게 큰 매력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페페는 NFT 커뮤니티와도 강한 연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원조 페페 밈이 NFT로도 인기가 많아서, 이 부분에서 시너지가 기대됩니다.
봉크(BONK)
봉크는 ‘솔라나의 페페’로 불립니다. 솔라나 생태계에서 처음으로 성공한 밈코인이죠. 특히 솔라나가 400달러를 돌파하면서 봉크도 엄청난 수혜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봉크는 이미 시총이 8억 달러까지 올랐습니다. 추가 상승 여력이 제한적일 수 있죠. 현재 가격에서 10배를 더 간다면 시총이 80억 달러가 되는데, 이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보입니다.
다만 솔라나 생태계가 계속 성장한다면, 봉크도 그 수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솔라나 모바일과의 연계 가능성이 있습니다.
도그위햇(DOGWIFHAT)
도그위햇은 최근 떠오른 솔라나 기반 밈코인입니다. 봉크의 뒤를 잇는 2등 솔라나 밈코인으로 자리잡았죠. 특히 비트코인 커뮤니티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맘시(극단적 낙관론자)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큰 강점입니다. 비트코인이 강세를 보이는 한 도그위햇도 상승 여력이 있죠. 특히 반감기를 앞두고 있어 더욱 기대됩니다.
최근에는 주요 중앙화 거래소 상장도 이어지고 있어, 유동성도 점점 좋아지고 있습니다.
웰시(WELSH)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69.png)
웰시는 스택스 체인의 대표 밈코인입니다. 스택스가 비트코인 레이어2로 주목받으면서 웰시도 덩달아 관심을 받고 있죠. 현재 시총은 겨우 20M 수준입니다.
만약 도지코인의 1% 시총까지만 따라간다고 해도 약 100배의 상승 여력이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유동성이 매우 부족한 것이 단점입니다. 리스크가 크지만 그만큼 리턴도 클 수 있는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코인입니다.
특히 비트코인 반감기를 앞두고 있어, 스택스 체인이 주목받는다면 웰시도 큰 수혜를 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밈코인 시장은 항상 순환매입니다. 온도파이낸스가 식으면 이더리움으로, 이더리움이 식으면 다시 밈코인으로 돈이 돌아옵니다.
다만 모든 밈코인 투자에는 엄청난 리스크가 있습니다. 언제든 90% 이상 폭락할 수 있으며, 특히 유동성이 부족한 코인은 더욱 위험합니다. 이 글은 투자 추천이 아니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30일만에 당신의 투자금이
얼마나 불어날까요?
레버리지 | 일일 수익률 | 30일 후 배율 | 최종 금액 |
---|---|---|---|
1x | 0.5% | 1.16배 | 116만원 |
3x | 1.5% | 1.56배 | 156만원 |
5x | 2.5% | 2.11배 | 211만원 |
10x | 5.0% | 4.48배 | 448만원 |
당신의 투자 전략은 어떤 결과를 만들어낼까요?
지금 바로 확인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