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큐코인 시세 전망, AI 시대의 탈중앙화 위키피디아

아이큐코인 시세 전망, AI 시대의 탈중앙화 위키피디아

아마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최근 AI 붐을 타고 지식 플랫폼에 관심이 생기신 분들일 것 같다.

"위키피디아를 블록체인으로 옮긴다고?"
"AI 학습 데이터로 가치가 있나?"
"토큰 이코노미가 제대로 굴러갈까?"

이런 생각으로 검색하셨을 것 같다.

아이큐코인은 현재 Web3 지식 플랫폼의 선두주자다. 특히 AI 시대에 검증된 데이터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아이큐코인 전망, 에브리피디아란?

2014년에 시작된 탈중앙화 백과사전이다. 매월 100-200만명이 방문하는 대형 플랫폼으로, 위키피디아와 다르게 토큰으로 기여자들한테 보상을 준다.

특히 3개의 모듈 시스템이 핵심이다:

  1. 거버넌스 모듈: 네트워크 규칙 결정
  2. 토큰 모듈: IQ 토큰 발행/분배
  3. 아티클 모듈: 콘텐츠 검증/보상

아이큐코인의 기술적 특징

하 시발 이런게ㅋㅋㅋㅋㅋㅋ

브레인파워(BP) 시스템이 핵심이다. IQ 토큰을 21일간 스테이킹하면 1:1로 BP를 받는다. 이 BP로 편집 제안, 투표, 거버넌스 참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150 IQ를 스테이킹하면 150 BP를 받아서 플랫폼에서 활동할 수 있다. 스팀잇의 파워업 시스템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아이큐코인 토크노믹스 분석

총 발행량은 105억 IQ로 제한되어 있다. 현재 연간 인플레이션은 0.08%로, 30분마다 500 IQ가 새로 발행된다.

주목할 건 하드캡 도달 후의 보상 시스템이다. 그 이후엔 플랫폼 수수료에서 보상이 나가기 때문에, 실제 얼마나 많이 쓰이느냐가 중요해진다.

리스크 요인

  1. 컨텐츠 품질 관리
    토큰 보상만으로는 위키피디아급 품질을 유지하기 힘들 수 있다.
  2. 이오스 기반
    사실상 치명적인 약점이다. 이오스 체인은 이미 죽은 체인이나 다름없다.

투자 관점

단기: AI 붐 덕분에 상승 모멘텀은 있다. (내러티브 플레이) 그래도 0.08% 인플레이션은 부담스럽다.

중장기: ChatGPT 같은 AI가 나오면서 위키피디아식 지식 플랫폼의 가치가 많이 떨어졌다. 이제는 그냥 투기자산으로만 봐야 한다. 떨어지면 줍고, 김치불장 오면 팔고 무한반복하는 식으로.

위키피디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지식 플랫폼의 성공은 결국 커뮤니티의 자발적 참여에 달려있다. 사실상 김치코인에 불과한 아이큐코인이 이걸 해낼 수 있을까? 솔직히 많이 회의적이다.

이 글은 투자 추천이 아니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다.

2천만원으로 → ‘340억’을 벌어버린 윙스 매매법.txt

윙스 180억 넣고 100% 먹은 스샷ㄷㄷ

놀라운게 23살에 2천만원으로 시작해서 업비트에서만 340억, 바이낸스까지 하면 더 벌었다고 함. 터키 롤리그에서 ‘Swing’으로 활동했던 프로게이머 출신인데, 이 경험이 트레이딩에 크게 도움됐다고 함.

일단 첫번째로 진짜 중요한게 ‘마진 거래 절대 금지’임. 윙스도 “레버리지는 수익도 크지만 리스크가 더 크다”고 했음. 실제로 레버 안쓰고 340억 만들었으니까 현물만으로도 충분히 큰돈 벌 수 있다는거 증명한셈.

(필독) 전용 거래소 할인코드 제공, 코린이 필수 + KYC
거래소 지.정.가 시.장.가
OKX 0.02% 0.05%
비트겟 0.018% 0.03%
MEXC 0.01% 0.04%
수수료는 바이비트가 업비트 대비 ‘5배’ 이상 저렴합니다. 기간별 트레이딩 대회 상금 ($5,000,000) 이상의 풀도 제공하니 바이비트, 비트겟 두개 정도는 필수로 가입해두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