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천만원으로 → ‘340억’을 벌어버린 윙스 매매법.txt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1/image-12-1024x554.png)
놀라운게 23살에 2천만원으로 시작해서 업비트에서만 340억, 바이낸스까지 하면 더 벌었다고 함. 터키 롤리그에서 ‘Swing’으로 활동했던 프로게이머 출신인데, 이 경험이 트레이딩에 크게 도움됐다고 함.
일단 첫번째로 진짜 중요한게 ‘마진 거래 절대 금지’임. 윙스도 “레버리지는 수익도 크지만 리스크가 더 크다”고 했음. 실제로 레버 안쓰고 340억 만들었으니까 현물만으로도 충분히 큰돈 벌 수 있다는거 증명한셈.
거래소 | 지.정.가 | 시.장.가 |
---|---|---|
OKX | 0.02% | 0.05% |
비트겟 | 0.018% | 0.03% |
바이비트 | 0.01% | 0.04% |
MEXC | 0.01% | 0.04% |
아마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MEXC 거래소의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고 MX코인의 미래가 궁금하실 것 같다. 특히 바이낸스의 BNB가 보여준 것처럼, 거래소 토큰의 잠재력이 어디까지일지 궁금하실 것이다.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21.png)
MEXC는 현재 가장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거래소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0% 거래 수수료’ 정책이다. 업비트가 0.05%의 수수료를 받는 것과 비교하면 엄청난 차이다.
간단한 복리계산기 (수수료 0%)
일일 거래금액: 1억원
일일 거래횟수: 5회
업비트 수수료: 0.05%
MEXC 수수료: 0%
일일 수수료 차이:
1억원 x 0.05% x 5회 = 250,000원
월간 수수료 차이 (30일 기준):
250,000원 x 30일 = 7,500,000원
연간 수수료 차이:
7,500,000원 x 12개월 = 90,000,000원
이제 이 차액을 매월 재투자한다고 가정해봄
월 750만원을 연이율 100%로 복리 투자시 (암호화폐 시장 특성상 100% 수익률 가정)
1년차: 9천만원 + 추가수익 9천만원 = 1.8억원
2년차: 1.8억원 + 추가수익 1.8억원 = 3.6억원
3년차: 3.6억원 + 추가수익 3.6억원 = 7.2억원
4년차: 7.2억원 + 추가수익 7.2억원 = 14.4억원
5년차: 14.4억원 + 추가수익 14.4억원 = 28.8억원
즉, 단순 수수료 차이만으로도 5년 후에는 약 28.8억원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에 런치패드나 킥스타터를 통한 추가 수익까지 고려하면 그 차이는 더욱 커질 수도 있다.
수수료 차이가 장기적으로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예시다.
2030년 MX코인 시세 희망회로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22.png)
2030년까지의 극단적인 시나리오를 그려보자. 현재 MEXC의 일일 거래량은 약 50억 달러 수준이다. 만약 현재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0% 수수료 정책이 더 많은 트레이더들을 끌어들인다면, 2030년에는 바이낸스의 현재 거래량인 500억 달러까지도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MX코인의 가치는 어떻게 될까? BNB의 사례를 보면, 거래소의 거래량이 10배 증가할 때 토큰의 가치는 약 50-100배 증가했다. 이를 MEXC에 적용하면, 현재 대비 100배 이상의 상승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MEXC는 수수료 수입 대신 다른 수익모델을 가지고 있다:
- 런치패드 수수료
- 프리미엄 리스팅 피
- 마진 거래 이자
- 파생상품 거래 스프레드
0% 수수료 정책으로 인한 손실을 이러한 부가 수익으로 충분히 보완하고 있으며, 이는 MX코인의 가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리스크도 분명히 존재한다:
- 규제 리스크
- 경쟁 심화
- 해킹 위험
- 시장 침체기의 거래량 감소
결론적으로, MX코인의 시세 전망은 매우 밝아 보인다. 0% 수수료라는 파격적인 정책, 효율적인 런치패드 시스템, 그리고 지속적인 거래소 성장이 맞물린다면, 2030년까지 100배 이상의 수익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23.png)
다만 이는 매우 낙관적인 시나리오이며, 실제 투자는 리스크를 고려한 적절한 포지션 사이징이 필요하다. 이 글은 투자 추천이 아니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