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천만원으로 → ‘340억’을 벌어버린 윙스 매매법.txt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1/image-12-1024x554.png)
놀라운게 23살에 2천만원으로 시작해서 업비트에서만 340억, 바이낸스까지 하면 더 벌었다고 함. 터키 롤리그에서 ‘Swing’으로 활동했던 프로게이머 출신인데, 이 경험이 트레이딩에 크게 도움됐다고 함.
일단 첫번째로 진짜 중요한게 ‘마진 거래 절대 금지’임. 윙스도 “레버리지는 수익도 크지만 리스크가 더 크다”고 했음. 실제로 레버 안쓰고 340억 만들었으니까 현물만으로도 충분히 큰돈 벌 수 있다는거 증명한셈.
거래소 | 지.정.가 | 시.장.가 |
---|---|---|
OKX | 0.02% | 0.05% |
비트겟 | 0.018% | 0.03% |
바이비트 | 0.01% | 0.04% |
MEXC | 0.01% | 0.04% |
아마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트럼프의 자본이득세 폐지 공약과 게리겐슬러 SEC 의장의 사임 가능성 소식을 듣고 들어오셨을 것 같습니다. 특히 리플이 SEC와의 소송에서 승리하면서 미국 기반 코인들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어났습니다.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60.png)
현재 미국 코인들은 트럼프의 자본이득세 폐지 공약이 선반영되면서 대부분 상승세입니다. 특히 SEC의 규제 완화 기대감이 더해지면서 상승 모멘텀이 더욱 강해지고 있습니다.
리플(XRP)
리플은 SEC와의 소송에서 사실상 승리를 거뒀습니다. 이는 단순히 리플만의 승리가 아닌,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승리입니다. 특히 리플은 미국 은행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어, 국제송금 시장에서 강점을 보입니다.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61.png)
리플넷을 통한 국제송금 서비스는 이미 전 세계 수백 개 은행에서 사용 중입니다. 특히 ODL(On-Demand Liquidity) 서비스는 실시간 국제송금을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 SWIFT 시스템이 2-3일 걸리는 것과 비교하면 혁신적인 변화입니다.
최근에는 아랍에미리트, 싱가포르 등 주요 금융 허브들과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내 주요 은행들과의 파일럿 프로그램도 진행 중입니다. SEC 규제가 완화되면 이 부분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스텔라(XLM)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62.png)
스텔라는 리플의 공동창업자 젯 맥칼렙이 만든 프로젝트입니다. 리플이 기업간 송금에 초점을 맞췄다면, 스텔라는 개인간 송금과 소규모 기업을 타겟으로 합니다.
특히 스텔라는 USDC 스테이블코인의 주요 블록체인 중 하나입니다. 서클과의 협력을 통해 달러화 송금 시장을 공략하고 있죠. 최근에는 모네이그램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실제 송금 서비스도 시작했습니다.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개발에도 적극적입니다. 우크라이나, 나이지리아 등 여러 국가의 CBDC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CBDC를 도입한다면 스텔라가 주요 후보가 될 수 있습니다.
에이다(ADA)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63.png)
에이다는 찰스 호스킨슨이 이끄는 카르다노 재단의 코인입니다. 현재 찰스 호스킨슨이 백악관의 ‘암호화폐 부서’에 관여될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에이다는 학술적 접근방식을 택하고 있습니다. 모든 업데이트가 동료 평가를 거치며, 이는 미국의 규제 당국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SEC 위원장 게리겐슬러도 비트코인과 에이다를 제외한 모든 코인이 증권이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최근에는 하이드라 프로토콜을 통해 확장성 문제도 해결하고 있습니다. 초당 처리량이 1백만 TPS까지 가능하다고 합니다. 여기에 트럼프 정부의 규제 완화까지 더해진다면 큰 수혜가 예상됩니다.
헤데라(HBAR)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64.png)
헤데라는 엔터프라이즈급 블록체인의 대표주자입니다. IBM, 구글, LG 등 거대 기업들이 이사회 멤버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구글 클라우드가 직접 노드 운영에 참여하면서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특히 헤데라는 미국 정부와 가장 가까운 블록체인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규제 준수에 매우 적극적이며, 최근에는 미국 국방부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Buy American’ 정책과도 잘 맞아떨어집니다.
헤데라의 독특한 합의 알고리즘인 해시그래프는 특허로 보호받고 있습니다. 초당 10,000건 이상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으며, 수수료는 0.0001달러 수준입니다. 최근에는 USDC도 헤데라 네트워크에서 발행되기 시작했습니다.
알고랜드(ALGO)
알고랜드는 MIT 교수 실비오 미칼리가 설계한 블록체인입니다. 순수 지분증명(PPoS) 방식을 처음 도입했으며, 이론적으로는 ‘트릴레마’를 해결했다고 평가받습니다.
특히 CBDC 개발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미 마셜제도, 필리핀 등 여러 국가의 CBDC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연방준비은행과도 접촉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립니다.
기관투자자들도 알고랜드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실버게이트 캐피탈, SkyBridge 캐피탈 등이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습니다. 특히 블랙록이 USDC 준비금 관리에 참여하면서 알고랜드 생태계가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앱토스(APT)
앱토스는 메타(전 페이스북)의 디엠 프로젝트 출신 개발자들이 만든 블록체인입니다. a16z, FTX 벤처스 등 실리콘밸리 최고의 VC들이 투자했으며, 초기부터 미국 규제를 고려해 설계됐습니다.
특히 Move 언어를 사용해 보안성이 뛰어납니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버그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최근에는 페이팔의 스테이블코인이 앱토스에서 발행된다는 소식도 전해졌습니다.
TPS도 160,000을 자랑하며, 병렬처리가 가능해 확장성도 뛰어납니다. 최근에는 마이크로소프트, 구글과 함께 AI 관련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미국 기술 패권’ 기조와도 잘 맞아떨어집니다.
수이(SUI)
수이 역시 메타 출신 개발자들이 만들었지만, 좀 더 소비자 중심적인 접근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NFT와 게임 분야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으며, 이미 EA, 유비소프트 등 메이저 게임사들과 파트너십을 맺었습니다.
수이의 가장 큰 장점은 ‘오브젝트 중심’ 설계입니다. NFT나 게임 아이템을 네이티브하게 처리할 수 있어, 게임과 메타버스 구현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최근 마이애미 히트 등 NBA 구단들과도 협력을 시작했습니다.
JP모건도 최근 수이를 주목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특히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 구축에 수이를 활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여기에 트럼프의 규제 완화까지 더해진다면 엄청난 성장이 예상됩니다.
칠리즈(CHZ)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65.png)
칠리즈는 스포츠 팬 토큰의 절대강자입니다. 특히 미국 스포츠 리그와 가장 가까운 블록체인으로, NBA, NFL 등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UFC와도 대규모 파트너십을 체결했습니다.
팬 토큰 시장은 이미 검증된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유럽 축구팬들의 폭발적인 호응을 얻었고, 이제는 미국 스포츠까지 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가 스포츠 산업과 친밀한 점을 고려하면 더욱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에는 칠리즈 체인 2.0을 출시하며 기술적 완성도도 높였습니다. 이더리움과의 호환성을 강화했고, NFT 거래도 가능해졌습니다. 스포츠 베팅까지 영역을 확장한다면 엄청난 성장이 예상됩니다.
결론적으로, 트럼프의 당선은 미국 기반 코인들에게 엄청난 호재입니다. 자본이득세 폐지와 규제 완화라는 두 가지 핵심 모멘텀이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리플, 헤데라, 알고랜드 같은 기업형 블록체인들이 먼저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됩니다.
30일만에 당신의 투자금이
얼마나 불어날까요?
레버리지 | 일일 수익률 | 30일 후 배율 | 최종 금액 |
---|---|---|---|
1x | 0.5% | 1.16배 | 116만원 |
3x | 1.5% | 1.56배 | 156만원 |
5x | 2.5% | 2.11배 | 211만원 |
10x | 5.0% | 4.48배 | 448만원 |
당신의 투자 전략은 어떤 결과를 만들어낼까요?
지금 바로 확인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