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천만원으로 → ‘340억’을 벌어버린 윙스 매매법.txt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1/image-12-1024x554.png)
놀라운게 23살에 2천만원으로 시작해서 업비트에서만 340억, 바이낸스까지 하면 더 벌었다고 함. 터키 롤리그에서 ‘Swing’으로 활동했던 프로게이머 출신인데, 이 경험이 트레이딩에 크게 도움됐다고 함.
일단 첫번째로 진짜 중요한게 ‘마진 거래 절대 금지’임. 윙스도 “레버리지는 수익도 크지만 리스크가 더 크다”고 했음. 실제로 레버 안쓰고 340억 만들었으니까 현물만으로도 충분히 큰돈 벌 수 있다는거 증명한셈.
거래소 | 지.정.가 | 시.장.가 |
---|---|---|
OKX | 0.02% | 0.05% |
비트겟 | 0.018% | 0.03% |
바이비트 | 0.01% | 0.04% |
MEXC | 0.01% | 0.04% |
아마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코인 시가총액 순위에서 비트코인이 10만 달러를 찍고 이더리움이 4천 달러를 돌파하는 걸 보면서 코인 시가총액 순위가 심상치 않다고 느끼실 것 같습니다. ‘진짜 큰 장이 오는 건가?’ 하는 생각이 드실 겁니다.
현재 코인 시가총액 순위는 완전히 광풍입니다. 하지만 모든 코인이 다 오르는 건 아닙니다. 오히려 상위 코인들만 더 강해지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해지고 있죠.
비트코인(BTC) – 디지털 금의 탄생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70.png)
코인 시가총액 순위에서 비트코인은 이제 진정한 ‘디지털 금’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실제로 오늘 아침 제롬파월이 ‘디지털 금’이라고 선언하면서 10만 달러를 돌파했죠.
ETF 승인 이후 블랙록, 피델리티 같은 거대 자산운용사들이 적극적으로 매수에 나서고 있습니다. 특히 GBTC의 현물 전환으로 28만 BTC가 시장에 풀리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지만, 오히려 ETF 수요가 이를 상쇄하고도 남았습니다.
비트코인의 강점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첫째, 채굴 보상이 6.25 BTC에서 3.125 BTC로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연간 신규 공급량이 절반으로 감소한다는 의미인데, 이 패턴이 과거 세 번의 반감기에서 모두 1년 내 신고가를 기록했고 단 한 번도 틀리지 않았습니다.
둘째, 기관투자자들의 진입이 본격화됐습니다. ETF만이 아닙니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는 계속 비트코인을 매수하고 있고, 테슬라도 보유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엘살바도르는 국가 차원에서 비트코인을 매수하고 있죠.
셋째, 거시경제 환경이 우호적입니다. 미국의 금리인하가 예상되고, 달러 약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비트코인 같은 대체자산에 유리한 환경입니다.
이더리움(ETH) – 디파이의 기축통화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71.png)
코인 시가총액 순위에서 이더리움은 더이상 ‘알트코인’이 아닙니다. 사실상 1위 금융 플랫폼이죠.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대출, 예금, 파생상품, 보험까지 모든 것이 이더리움 위에서 돌아갑니다.
이더리움의 미래가 밝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EIP-1559 이후 디플레이션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모든 거래의 기본 수수료가 소각되죠. 여기에 스테이킹으로 인한 락업까지 더해져 실질 유통량은 계속 감소하고 있습니다.
둘째, 레이어2 생태계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아비트럼, 옵티미즘, 베이스 등 주요 레이어2의 TVL이 계속 증가하고 있죠. 이들은 모두 이더리움의 보안성을 활용합니다.
셋째, 기관들이 이더리움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ETF 승인 이후 이더리움의 스테이킹 ETF도 승인될 것이라는 기대가 큽니다. 골드만삭스, JP모건 같은 대형 은행들도 이더리움 스테이킹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죠.
넷째, 모든 주요 NFT가 이더리움에서 발행됩니다. 유명 브랜드들의 Web3 진출도 대부분 이더리움을 통해 이뤄지고 있습니다.
리플(XRP) – SEC와의 승리 그 이후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73.png)
리플은 SEC의 게리겐슬러가 사임하면서 역사적인 소송에서 승리했습니다. 하지만 이제 진짜 과제가 시작됐습니다. 실제 송금 시장에서 SWIFT를 이길 수 있느냐가 관건이죠.
리플의 현재 상황을 살펴보면:
첫째, 중앙화 문제가 있습니다. 리플랩스가 보유한 XRP가 전체 발행량의 약 48%입니다. 여기에 전 CTO 젯 맥칼렙의 물량까지 더하면 절반 이상이 소수에게 집중돼있죠.
둘째, ODL(On-Demand Liquidity) 송금 서비스의 실사용이 아직 기대에 미치지 못합니다. 많은 은행들이 리플넷을 테스트했지만, 실제 도입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뭅니다.
하지만 긍정적인 변화도 있습니다. SEC 소송 승리로 미국 내 사업 확장이 가능해졌고, 특히 아시아 시장에서는 꾸준한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톤코인(TON) – 텔레그램
톤은 단순한 블록체인이 아닙니다. 텔레그램이라는 강력한 메신저 플랫폼과 결합된 유일한 블록체인이죠. 이는 엄청난 경쟁력입니다.
톤이 폭발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살펴보면:
첫째, 텔레그램의 8억 사용자 기반입니다. 이들은 이미 텔레그램 지갑을 통해 TON에 자연스럽게 노출되고 있습니다. 이는 어떤 블록체인도 가지지 못한 강점이죠.
둘째, 기술적 완성도가 높습니다. 인피니트 샤딩으로 무한한 확장성을 제공하죠. 스마트 컨트랙트도 지원하며, 개발자 생태계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셋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텔레그램과 TON의 가치가 재조명됐습니다. 검열저항성이 뛰어난 메신저와 결제시스템의 필요성이 커졌죠.
넷째, 파벨 두로프의 존재감입니다. 텔레그램 창업자인 그의 영향력은 막강합니다. 특히 Web3 진영에서 그의 발언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솔라나(SOL) – 속도 + 가스비
![](https://bokri.kr/wp-content/uploads/2024/12/image-74.png)
솔라나는 이제 단순한 이더리움 킬러가 아닙니다.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한 메이저 블록체인이죠. 특히 FTX 사태 이후의 회복력은 정말 놀랍습니다.
솔라나가 계속 성장하는 이유는:
첫째, 압도적인 처리속도입니다. 초당 6만5천 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의 15건과 비교가 안되죠. 수수료도 0.00025 SOL(약 0.1달러) 수준으로 매우 저렴합니다.
둘째, 독보적인 모바일 생태계입니다. 솔라나 모바일과 사가 폰의 출시로 진정한 Web3 모바일 플랫폼을 구축했습니다. 이는 어떤 블록체인도 시도하지 못한 영역이죠.
셋째, 실사용이 폭발적입니다. 일일 활성 지갑이 250만개를 넘어섰습니다. 이는 이더리움을 추월한 수치죠. 특히 NFT 거래가 매우 활발합니다.
넷째, 강력한 DeFi 생태계입니다. 오르카, 레이디움 등의 디파이 프로토콜들이 대하락장의 지옥에서 결국 살아돌아왔습니다. TVL도 빠르게 회복되고 있죠.
다섯째, 제도권의 인정입니다. 비자,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대형 기업들이 솔라나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습니다. 특히 USDC 발행사 서클이 솔라나를 적극 지원하고 있죠.
여섯째, 개발자 생태계가 탄탄합니다. 러스트 언어를 사용해 안정성이 뛰어나죠. 개발자 교육 프로그램도 잘 갖춰져 있어 지속적으로 새로운 프로젝트가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리스크도 있습니다:
- 네트워크 불안정성 (과거 여러 번의 정지 경험)
- 중앙화 우려 (VC 물량이 많음)
- 경쟁 심화 (수많은 L1 체인들과 경쟁)
이런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솔라나는 이더리움 다음으로 가장 강력한 생태계를 구축하는데 성공했습니다. 특히 모바일 전략은 타 체인이 따라올 수 없는 차별점입니다.
결론적으로, 2025년 코인 시장은 이 다섯 개의 코인을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글은 투자 추천이 아니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30일만에 당신의 투자금이
얼마나 불어날까요?
레버리지 | 일일 수익률 | 30일 후 배율 | 최종 금액 |
---|---|---|---|
1x | 0.5% | 1.16배 | 116만원 |
3x | 1.5% | 1.56배 | 156만원 |
5x | 2.5% | 2.11배 | 211만원 |
10x | 5.0% | 4.48배 | 448만원 |
당신의 투자 전략은 어떤 결과를 만들어낼까요?
지금 바로 확인해보기!